xCellSense®

Live cancer cells meet artificial intelligence

What is xCellSense®?

xCellSense®는 AML, ALL 환자의 살아 있는 암세포를 활용하여 최대 21가지 항암제에 대한 약물 반응을 분석하고, 특정 항암제에 대한 리스크, MRD 예측을 통해 의료진이 최적의 치료법과 항암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제공합니다.

약물감수성 분석 절차 및 기술

Diagram for drug sensitivity test sample workflow
IMV-8: ImpriMed Optimum Media

특수 배양 기술 IMV-8

체외에서 세포 활성을 높게 유지하는 특수 배양 용액으로 환자 체내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약물 반응 평가

xCellSense: Drug Sensitivity Analysis

약물 반응 정량적 분석

Dose-response curve로 IC50, AUC, Emax 산출, 특히 Emax는 환자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 확인

Rapid Drug Sensitivity Processing Technology

고속 대량 약물 감수성 분석 기술

빠르고 정밀한 약물 감수성 분석 기술을 통해 광범위한 약물 농도 범위(nM~μM) 테스트 가능

7 Day turnaround time for xCellSense

분석 결과 수령 TAT : 7일

최대 7일 이내에 환자의 상태와 특성에 최적화된 맞춤형 치료 인사이트 제공

약물 감수성 분석 결과

  • 환자 유래 세포가 항암제에 반응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 Dose-response curve를 활용해 IC50, AUC, Emax 등의 핵심 지표 산출
  • 특히, 연구 결과 통해 Emax는 환자의 생존율(Overall survival)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지표로 확인 (Park et al, 2023)
Drug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a) b)
Sample Result for AML drug sensitivity test

AML : Acute Myeloid Leukemia

VEN + HMA drug sensitivity result
Anthra + araC drug sensitivity result
  • Hazard ratio: 두 그룹간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비교하는 지표, 고위험군이 저위험군보다 사망할 위험 비율
  • Log-rank p value: 두 그룹의 생존 곡선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 p value가 0.05보다 작으면 두 그룹간의 생존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
  • Confidence intervals: 95% 신뢰구간 표시 (음영부분)

ALL : Acute Lymphocytic Leukemia

재발 혹은 사망한 환자들(왼쪽)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오른쪽)의 항암제 감수성을 비교하였을 때, 재발한 환자들의 감수성이 더 높았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본 환자분의 재발 및 사망 가능성을 예측하였습니다. 치료 후 MRD+로 판별된 환자분들(왼쪽)은 MRD- 환자분들(오른쪽)에 비해 항암제 감수성이 낮았습니다(왼쪽 그래프). 이를 바탕으로 본 환자분의 MRD 결과를 예측하였습니다. 참고로 감수성을 바탕으로 MRD+로 예측된 환자 분들은MRD-로 예측된 환자분들 보다 overall survival이 유의미하게 짧았습니다(Hazard Ratio of 3.1).
  • MRD: 미세 잔존 질환, 암 치료 후 환자의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는 소량의 암세포
  • Hazard ratio: 두 그룹간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비교하는 지표, 고위험군이 저위험군보다 사망할 위험 비율
  • P value: 두 그룹의 생존 곡선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적 지표로서 0.05보다 작으면 두 그룹간의 생존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 본 보고서에서는 Log-rank로 계산하였음
  • Confidence intervals: 95% 신뢰구간 표시 (음영부분)

기술개발 개요 및 우수성

2025
  •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Special Conference in Cancer Research: Functional and Genomic Precision Medicine in Cancer에 연구개발 성과 포스터 발표
2024
  • IVD Software에 대한 GMP 적합 인정서 획득
  •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Annual Meeting에서 ALL 연구개발 성과 포스터 발표
2023
  • xCellSense™ 제품 사업화 담당 TF팀 형성 및 추진 개시
  •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Annual Meeting에 연구개발 성과 포스터 발표
2022
  •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rainpool) 선정
  • 약물 감수성 검사 주요 기술에 대한 국내 및 일본특허 등록
2021
  •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MOU 체결
  • 국제학술지에 약물 감수성 검사 기술에 대한 논문 2편 출판

xCellSense®에 대해 더 궁금하신가요?
언제든지 연락주세요.